광주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개발사업, 위치도
- 부동산 정보/개발소식,계획
- 2021. 8. 28.
광주광역시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개발사업, 위치도
◎ 위 치: 상무지구 일원(서구 치평동, 마륵동 일원)
◎ 총사업비: 범부처 지원사항 등 협의 후 결정
◎ 사업기간: 2021년 ~ 2025년(5년간)
◎ 사업목표
- 미래 성장산업 생태계 조성: 새로운 혁신 일자리 10,000개 창출
- 라이프 스타일 맞춤형 정주환경 조성: 워라벨 50:50 달성
- 미래를 대비하는 스마트 그린환경 조성: RE100 달성
- 도전이 일상화되는 혁신 거점 조성: 수도권 대비 1년에 260시간 절약
<창업・성장・벤처・소통・교류공간>
◎ 특 징
- 공공이 선도 추진하는 창조경제 생태계 집적 공간
- 공공의 창업기업 성장지원, 벤처・스타트업 육성 공간
◎ 관련분야
- IoT, 드론, 정보보호, HPC, ICT-문화융합, 인공지능, 핀테크, 콘텐츠, 게임, 스마트헬스케어, 자율주행, S/W 등
◎ 지원시설
- 기업지원허브, 기업성장센터, SW드림센터, ICT융합센터, 글로벌BIZ센터 등
◎ 지원내용
- R&D, 컨설팅, 기술테스트, 시제품제작, 사업화, 판로개척, 해외진출, 기술보호, 특허, 금융, 펀딩, 법률, 컨벤션, 주거, 문화, 체육, 복지, 교통, 교육, 의료, 여가, 도서관, 신용회복, 재도전 등 지원
<혁신기업・글로벌공간>
◎ 특 징
- 기술혁신과 창업인프라 조성
-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사업공간 제공
- 글로벌 네트워크, 산학 협력체계 구축
- 소통・교류가 활발한 매력적인 도시 조성
- 정부․시․사업자 등의 과감한 지원 ‣ 기업애로 해결 One-Stop 서비스 지원
◎ 공간조성
- 혁신형 기업의 미래기술 선도 공간
- 수도권 선도기업 이전 및 창업성공 기업 등 앵커기업 입지 공간
- 선․후배 기업의 멘토링, 컨설팅, 기술트렌드, 오픈 아카데미 공유 공간 등
광주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(약 85만㎡)는 시청이 위치한 상무지구 서편 지역으로 김대중컨벤션센터, 상무시민공원 등 현재 이용하고 있는 부지(약 25만㎡)와 구 상무소각장, 농지 등 대규모 유휴부지(약 60만㎡)로 구성되어 있다.
개발가능한 대규모 유휴부지의 절반 정도(약 29만㎡)를 시와 도시공사가 보유하고 있어 신속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이 가능하며, 부지면적도 충분하여 광주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의 핵심 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또한, 상무지구 일원은 지역 청년들이 즐겨 찾는 신도심으로 한국전력공사 및 에너지업계 기업들이 이전해 있는 나주혁신도시, 전남대학교 등 지역 대학과 연계한 지역혁신산업 육성과 같이 도심 융합특구와의 연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.
광주광역시는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내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해당 지역에 대해(서구 치평동,마륵동)토지거래허가구역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을 발표와 동시에 지정하였음.(2021.12.22.자.)
광주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위치도(서구 치평동, 마륵동 일원)
-산업융복합S.W드림센터
-혁신벤처타운
-기업성장지원센터
-AI, 드론산업
-친환경, 자율주행 자동차 실증단지
-5G기반 ICT산업
-에너지자립형 스마트산업 육성단지
-R&D센터 2개소
-복합지원시설용지
-어울림공원